목록0년차/알고리즘(함수) (2)
멋쟁이v의 개발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KH4y/btrSlXLFtM6/1bJo21S4Y8AFQ70KeIKRyk/img.jpg)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1 110 예제 2 1 예제 3 210 예제 4 1000 예제 출력 출력 1 99 출력 2 1 출력 3 105 출력 4 144 풀이 등차수열 : 연속된 숫자의 차이가 일정 어떤 숫자가 주어졌을 때 그 숫자의 각 자리 수가 등차수열이 만족해야 합니다. 예를들면 123 숫자가 있으면 각 자리를 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W9Rm/btrSm2k9vCE/7oW3x0FoLwIwOy57eDNgR0/img.jpg)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141, ... n을 d(n)의 생성자라..